PMP 공부한 티 내보려고 적는 요약정리
참고한 책: PMBOK 6th, PMP PRIDE(해설서), PM+P(문제집)
1. INTRODUCTION
#포트폴리오, 프로그램, 프로젝트의 정의
- 포트폴리오: 조직의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되는 프로그램, 프로젝트, 운영업무의 집합
- 프로그램: 포트폴리오를 달성하고자 자원 배분과 통제 관점에 초점을 두고 있는 관련 있는 프로젝트의 집합
- 프로젝트: 고유한 제품, 서비스, 결과물을 만들기 위한 한시적인 노력
Portfolios |
Programs |
Projects |
|
Definition |
A portfolio is a collection of projects, programs, subsidiary portfolios, and operations managed as a group to achieve strategic objectives. |
A program is a group of related projects, subsidiary programs, and program activites that are managed in a coordinated manner to obtain benefits not available from managing them individually. |
A project is a temporary endeavor undertaken to create a unique product, service, or results. |
Scope |
Portfolios have an organizaional scope that changes with the strategic objectives of the organization. |
Programs have a scope that encompasses the scope of its program components. Progeams produce benefits to an organization by ensuring that the outputs and outcomes of program components are delivered in a coordinated and complementary manner. |
Projects have defined objectives. Scope is progressively elaborated throughout the project life cycle. |
Change |
Portfolio managers continuously monitor changes in the broader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. |
Programs are managed in a manner that accepts and adapts to change as necessary to optimize the delivery of benefits as the program's components deliver outcomes and/or outputs. |
Project managers expect change and implement processes to keep change managed and controlled. |
Planning |
Portfolio manages create and maintain necessary processes and communcation relative to the aggregate portfolio. |
Programs are managed using high-level plans that track the interdependencies and progress of program components. Program plans are also used to guide planning at the component level. |
Project managers progressively elaborate high-level information into detailed plans throughout the project life cycle. |
Management |
Portfolio managers may manage or coordinate portfolio management staff, or program and project staff that may have reporting responsibilities into the aggregate protfolio. |
Programs are managed by program managers who ensure that program benefits are delivered as expected, by coordinating the activities of a program's components. |
Project managers manage the project team to meet the project objectives. |
Monitoring |
Portfolio managers monitor strategic chages and aggregate resource allocation, performance results, and risk of the portfolio. |
Program managers monitor the progress of program components to ensure the overall goals, schedules, budget, and benefits or the program will be met. |
Project managers monitor and control the work of producing the products, services, or results that the project was undertaken to produce. |
Success |
Success is measured in terms of the aggregate investment performance and benefit realization of the portfolio. |
A program's success is measured by the program's abillity to deliver its intended benefits to an organizaion, and by the program's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in delivering those benefits. |
Success is measured by product and project quality, timeliness, budget compliance, and degree of customer satifaction. |
PMBOK 6th / Table 1-2. Comparative Overview of Portfolios, Programs and Projects
#프로젝트 개발 생애주기의 5가지 유형
예측형 |
계획 주도형(plan-driven), 초기단계에서 프로젝트 범위·일정·원가가 결정되는 형태 |
반복형 |
프로젝트 범위는 초기에 결정되나, |
점증형 |
미리 정해놓은 기간(time frame) 내에 기능을 계속 반복적으로 추가하면서 인도물을 만드는 형태 |
적응형 |
변화 주도형(change-driven), 반복주기가 매우 짧음(2~4주) |
혼합형 |
잘 알려진 혹은 확정된 요구사항과 관련된 프로젝트의 요소에는 예측형 생애주기를 적용하고, |
#제품 생애주기와 프로젝트 생애주기의 차이점
- 제품 생애주기: 개념정의→도입(인도)→성장→성숙→처분(폐기) 에 이르기까지 제품의 진화를 나타내는 일련의 단계
- 프로젝트 생애주기: 착수→계획수립→실행→감시·통제→종료 까지 프로젝트가 거쳐가는 일련의 생애단계
- 차이점: 제품 생애주기가 프로젝트 생애주기보다 길고, 프로젝트 생애주기를 포함할 수 있음
(제품 생애주기 ⊃ 프로젝트 생애주기)
: 프로젝트 생애주기는 항상 시작과 끝이 있는 반면, 제품 생애주기는 끝을 한정할 수 없을 수도 있음
: 프로젝트 생애주기 단계들은 순차적·반복적으로 수행되나, 제품 생애주기 단계는 순차적으로 진행 되지만 비교적 반복적이지 않음
#프로젝트 단계, 단계 말 검토
- 프로젝트 단계: 하나 이상의 인도물의 완료로 끝나는 논리적으로 연관된 프로젝트 활동들의 집합
- 단계 말 검토(Phase Gate): 오류가 담겨 있거나 범위가 누락된 산출물을 다음 단계로 이전하는 것을 예방하며,
투입 중인 노력을 재평가 할 수 있고, 필요시 프로젝트 변경 및 종료도 가능
※ Phase Gate = Phase Review, Stage Gate, Phase Exit, Phase Entrance, Kill Point, Design Review
#프로세스 그룹
- 프로젝트 그룹: 하나의 프로세스에서 수행된 조치는 대게 해당 프로세스는 물론이고 다른 프로세스에도 영향을 미치며
각각의 산출물을 통해 서로 연결됨
※ 무엇을 하라(what)는 정의해 주지만, 어떻게 해야 한다(how)는 실행방법까지는 안내하지 않음
프로세스 그룹 ▶ 지식영역 ▼ |
착수 |
계획 수립 |
실행 |
감시·통제 |
종료 |
4. 통합관리 |
4.1 프로젝트 헌장 개발
|
4.2 프로젝트관리계획서 개발 |
4.3 프로젝트작업지시 |
4.4 프로젝트작업 |
4.6 프로젝트 또는 |
5. 범위관리 |
5.1 범위관리 계획수립 |
5.5 범위 확인
|
|||
6. 일정관리 |
6.1 일정관리 계획수립 |
6.6 일정 통제
|
|||
7. 원가관리 |
7.1 원가관리 계획수립 |
7.4 예산 통제
|
|||
8. 품질관리 |
8.1 품질관리 계획수립
|
8.2 품질 관리
|
8.3 품질 통제
|
||
9. 자원관리 |
9.1 자원관리 계획수립 |
9.3 자원 확보 |
9.6 자원통제 |
||
10. 의사소통관리 |
10.1 의사소통관리 계획수립 |
10.2 의사소통 관리 |
10.3 의사소통 감시 |
||
11. 리스크관리 |
11.1 리스크관리 계획수립 |
11.6 리스크 대응계획
|
11.7 리스크 감시
|
||
12. 조달관리 |
12.1 조달관리 계획수립
|
12.2 조달 수행
|
12.3 조달 통제
|
||
13. 이해관계자관리 |
13.1 이해관계자 식별
|
13.2 이해관계자 |
13.3 이해관계자 |
13.4 이해관계자 |
PMBOK 6th / Table 1-4. Project Management Process Group and Knowledge Area Mapping
#작업 성과 자료, 작업 성과 정보, 작업 성과 보고서
프로젝트 자료들(WPD, WPI, WPR)은 프로젝트 생애주기에 걸쳐 다양한 프로세스들의 결과로 수집되며,
수집된 자료들은 분석·통합되어 다양한 프로세스 과정에서 프로젝트 정보로 변형됨
작업 성과 자료 |
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파악되는 관찰치 또는 측정치(raw data) |
→ 실행 프로세스 그룹의 산출물 |
작업 성과 정보 |
내용이 분석된 작업성과자료 |
→ 통제 프로세스 그룹의 산출물 |
작업 성과 보고서 |
의사결정이나 이슈 제기, 조치 결정, 현황 파악을 위해 프로젝트 문서로 편집된 작업성과정보 |
→ '4.5 프로젝트 작업 감시 및 통제' 프로세스의 산출물 |
#비즈니스케이스 vs 편익관리계획서
|
비즈니스케이스 |
편익(혜택)관리계획서 |
정의 |
경제적 타당성을 조사한 문서. 추후 프로젝트 관리활동들의 승인을 위한 기초로 활용됨 |
프로젝트로 인한 편익(혜택)을 어떻게 창출하고, 극대화하며, 유지할 것인가를 정의해 놓은 문서 |
개발 및 |
스폰서 |
프로젝트관리자 + 스폰서 |
활용 |
프로젝트에 착수 전 Go/No Go 결정 |
프로젝트 초기에 목표혜택이 무엇인지 정의 |
만드는 방법 |
니즈 평가의 내용을 비즈니스케이스로 요약 |
비즈니스케이스와 니즈평가에 기술된 정보를 활용 |
포함되는 내용 |
* 비즈니스 니즈 |
* 목표 혜택 |
'challenge > PM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MBOK summary 06 / 프로젝트 일정관리 (0) | 2020.08.26 |
---|---|
PMBOK summary 05 / 프로젝트 범위관리 (0) | 2019.08.26 |
PMBOK summary 04 / 프로젝트 통합관리 (0) | 2019.08.25 |
PMBOK summary 03 (0) | 2019.08.25 |
PMBOK summary 02 (0) | 2019.08.25 |